진실 혹은 거짓

불량한 조선인, 일본을 발칵 뒤집다
영화 <박열>

불량한 조선인, 일본을 발칵 뒤집다<BR />영화

글 편집실


불량한 조선인, 일본을 발칵 뒤집다
영화 <박열>


감독: 이준익
주연: 이제훈, 최희서, 김인우
개봉일: 2017년 6월 28일


박열은 일반 민족운동가들과는 다른 인물이었다. 제도화된 정치조직, 권력을 부정하는 아나키스트였던 그는 자신의 사상과 닮은 가네코 후미코를 만나 평생의 연을 약속하고, 동지로서 함께 격정의 항일활동을 펼친 이상주의자였다.

          


        

Q.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는 어떻게 사랑하게 되었나?

일본에서 아나키스트로서 항일활동을 하던 불령선인(不逞鮮人) 박열(이제훈). 인력거꾼으로 밥벌이를 하는 그는 품삯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일본인에게 발로 채이고 무시당하기 일쑤다. 그러던 어느 날 잡지 『조선청년』에 실린 박열의 시를 보고 한 일본 여성이 찾아오는데, 그것이 가네코 후미코(최희서)와의 운명적인 첫 만남이었다.

가네코 후미코는 어린 시절 조선에서 지내며 불우한 가정환경과 학대 속에서 자라, 일본 제국주의에 반감을 가져온 인물이었다. 일본으로 돌아와 도쿄의 작은 어묵집에서 일하던 그녀는 아나키스트들과 교류하였는데, 우연히 박열의 유명한 시 ‘개새끼’를 보고 강한 감동을 받아 그를 흠모하게 되었다. 국가와 민족을 떠난 사상의 공감은 사랑으로 이어졌다. 두 사람은 연인으로 발전해 동거하며, 동시에 동지로서 함께 항일활동을 펼쳤다.        

 

alt

박열

alt

가네코 후미코


Q. 재판을 받을 때 전통 옷을 입고 조선말로 답했다?

“조선인에게는 영웅, 우리한텐 원수로 적당한 놈을 찾아.” 1923년 관동대지진 이후 조선인 대학살이 일어나자, 내무대신 미즈노(김인우)는 사건을 은폐하기 위한 화젯거리로 ‘불령사’를 지휘하는 박열을 대역죄로 잡아들인다. 영화 속에서 박열은 반말투로 조사에 응하고 법정에서는 조선 전통관복을 입고 등장해 웃음을 안긴다. 그러나 이는 단지 재미를 위한 설정이 아닌 실제 있던 일을 옮긴 것이다. 박열은 공판에 앞서 4가지 조건을 요구했다. 죄인 취급하지 말 것, 재판장과 동등한 좌석을 설치할 것, 조선 관복을 입힐 것, 조선어 사용 등이다. 첫 공판 당시 박열은 전통관복을, 후미코는 치마저고리를 입고 출두해 조선말로 답변하는 초유의 법정투쟁을 벌였다. 두 사람의 기개에 감탄한 일본 재판장이 호의적인 발언을 했다가 파면당하는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니, 영화 속 호기롭게 재판에 임하는 모습이 분명 과장은 아니다.     

   

alt

실제 박열과 후미코의 재판 모습

alt

<박열> 속 전통 관복을 입은 박열


Q. 옥중에 찍은 괴사진, 얼마나 똑같을까?

박열과 후미코가 투옥되어 있을 무렵 ‘괴사진(怪寫眞) 사건’이 일어난다. 옥중에서 찍은 사진이 유출된 것. 사진 속 두 사람은 의자에 껴안고 앉아있었다. 책을 읽고 있는 후미코와 그녀의 가슴 위에 한 손을 올린 채 다른 손으로는 턱을 괴고 카메라를 바라보는 박열. 죽음을 목전에 둔 상황임에도 여유롭고 평안해 보인다.

괴사진 이야기는 <박열>에서도 등장한다. 예심판사 다테마쓰(김준한)는 ‘조선에 계시는 어머니에게 우리 부부의 사진을 보여드리고 싶다’는 박열의 요청을 받아 두 사람만의 자리를 마련해주고 자리를 피한다. 그렇게 찍힌 두 사람의 사진은 실제 사진과 높은 싱크로율을 보여 화제를 낳았다. 당시 일본 야당은 뉘우치는 기색이 없는 대역죄인들을 감옥에서 특별 대우했다며 내각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고, 다테마쓰는 사직하였다.   

     

alt

박열 부부 사진

alt

<박열> 속 재연한 사진


Q. 영화 속 등장인물들은 모두 실존 인물이다?

<박열>은 ‘이 영화의 모든 내용은 실화입니다’라는 선언으로 시작한다. 이준익 감독은 이 영화에 허구의 인물은 단 한 명도 없으며, 역사학자 야마다 쇼지가 쓴 『가네코 후미코의 평전』, 후세 다쓰지의 『운명의 승리자 박열』 『박열 평전』 『가네코 후미코의 자서전』과 당시의 일본 신문 기사 등을 검토하여 사실에 충실했다고 밝혔다. 비중이 크진 않지만 후세 다쓰지는 실제로 박열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을 위해 변호를 맡아주었던 변호사이고, 영화 속에서 박열의 재판을 상세히 보도하기 위해 고군분투한 기자 이석은 실제 <조선일보> 특파원이다.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하는 영화의 경우, 대개 ‘역사 왜곡’이 쟁점이 되곤 한다. 그러나 지극히 사실에 기반을 둔 영화 <박열>은 왜곡이나 과장 혹은 미화 없이도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lt

<박열> 속 변호사 후세 다쓰지

a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