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독립운동가
한국 독립운동의 스승
안창호

글 전시부
한국 독립운동의 스승
안창호
독립기념관은 국가보훈처 및 광복회와 공동으로 안창호를 2019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안창호는 미주 한인사회를 이끌며 구국활동을 전개하고 임시정부 국무총리 서리를 지냈다. 이후에도 독립운동 단체의 통합을 주장하며 민주주의 국가 형성에 앞장섰다.

한인공동체의 지도자로 인정받다
도산(島山) 안창호는 1878년 11월 9일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칠리 봉상도(일명 도롱섬)에서 안흥국(安興國)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서당에서 한문을 공부하던 안창호는 청일전쟁을 목격하며 큰 충격을 받았고, 서울에서 선교사 밀러를 만나 민노아학당에 입학하게 되었다. 신학문을 3년간 수학한 뒤, 그는 독립협회의 민권운동에 참여하면서 국가가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 국민교육의 중요성을 절감했다. 독립협회 해체 후 교육과 전교활동에 전념하면서 본격적인 교육학 공부를 결심, 1902년 이혜련과 혼인한 다음날 함께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안창호는 한인들의 생활태도와 여건을 개선하고 한인친목회를 결성해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동포들이 단합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리버사이드의 오렌지농장 노동자들에게도 “오렌지 한 개를 따더라도 정성껏 따는 것이 나라를 위하는 일이다”라고 강조하며 한인에 대한 신용을 높이는 데 힘썼고, 점차 한인사회의 지도자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1905년 4월에는 동지들과 함께 조국 광복을 사업목표로 한 정치단체인 공립협회를 창립했다. 안창호를 초대회장으로 한 공립협회는 각지에 지방회를 확대해 나갔고, 『공립신보』를 통해 국내외 소식을 알리는 등 구국사업을 전개하면서 미주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대한인국민회로 발전했다.
독립운동의 기반을 다지고 민족통합에 헌신하다
안창호는 귀국하여 대성학교를 설립하고 청년학우회를 조직하는 등 다방면의 민족운동과 함께 항일비밀결사 신민회 활동을 통해 국권회복을 전개했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庚戌國恥) 후 국내에서의 독립운동 전개가 어려워지자 1911년 미국으로 돌아와 활로를 모색했다. 먼저 대한인국민회의 조직을 미주뿐만 아니라 시베리아, 연해주, 만주 등지로 확대하는 한편 흥사단을 설립해 독립운동의 조직과 기반을 마련했다.
3·1운동 이후 수립된 상하이 임시정부의 국무총리 서리 겸 내무총장으로 취임한 안창호는 독립운동 세력의 통일을 역설하며 임시정부의 체계를 세우고 임시정부 통합을 이끌었다. 임시정부에서 물러난 이후에도 독립운동단체의 통합과 이상촌 건설운동에 매진했다.
1932년 윤봉길 의거와 관련하여 연행된 후 2년 6개월 동안 옥고를 치른 안창호는 동우회 사건으로 다시 수감되며 지병 악화로 1938년 3월 10일 순국했다. 정부는 민주주의적 민족국가의 수립을 위해 헌신한 안창호의 공적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안창호가 미국 유학을 위해 받은 대한제국 발행 집조(여권)(1902)

대성학교 학생들과 교사들(1909)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오렌지 농장에서 오렌지를 수확하는 안창호(1912)

동우회 사건으로 붙잡히기 전 안창호(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