史소한 이야기
가려진 역사
지워진 이름들

가려진 역사 지워진 이름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의 실태-
일제강점기 많은 한국인이 독립운동의 소명과 생계의 이유를 갖고 해외로 갔다. 그러나 자의가 아닌 강제에 의해 고향을 떠나야 했던 사람들도 적지 않았다. 일본은 1938년, 중일전쟁이 길어지자 국방을 목적으로 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조달을 위해 ‘국가총동원법’을 제정했다. 이후 한국인들은 일자리 알선에 속아 또는 납치와 인신매매 등의 방식으로 탄광 및 군수산업 현장에 강제동원 됐다. 피해자 중 일부는 일본을 비롯한 해외로 끌려가 하루 12시간 고된 노동에 시달렸다.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었고, 턱없이 적은임금은 그마저도 강제 저축되었다. 노무자뿐만 아니라 군인과 군무원, 일본군 위안부와 여자근로정신대 등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강제동원도 이루어졌다.
강제동원의 역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타지에서 열악한 노동에 시달리다 죽은 이들은 아직도 고향 땅을 밟지 못했고, 당시 한국인 노동자를 동원했던 일본 기업에 대한 피해자 손해배상 문제도 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일본은 자신의 부끄러운 역사를 숨기는 데 급급할 뿐이다. 명예롭고 빛나는 역사에 가려져 있는 동안 하나 둘 피해자의 이름은 지워졌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기억해야만 한다. 강제동원은 사소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 무엇보다 중요한 현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