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시대 사적지 안내 자료’에
독립운동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글 이계형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독립운동사적지는 대개 3·1운동 시위지, 의병·의열 활동지, 단체나 행사 개최 건물 혹은 독립운동가 가옥 등이다. 그런 만큼 전통 시대 사적지에서 전개된 독립운동은 그리 많지 않다.
전체 1,457곳 가운데 표에서 보듯이 843곳에 불과하다. 그런데 이는 사찰, 서원, 향교 등으로 대개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많은 사람이 찾기에 그곳에서 어떻게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는지를 알리면
의미가 클 것이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인식에서 전통 시대 사적지에 설치된 안내판이나 백과사전에 독립운동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살펴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발간한 <국내 항일독립운동사적지 조사보고서(서울)>
국내 독립운동사적지 조사의 목적과 현황
국내 독립운동사적지의 목적과 현황 조사를 주도한 것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이하 연구소)이다. 연구소는 2007년부터 2010년까지 4개년 계획으로 사상 처음으로 국내 독립운동사적지를 일제 조사하였고, 이를 <국내 항일독립운동사적지 조사보고서>라는 이름으로 모두 11권(서울, 경기 남부, 인천·경기 북부, 충청남도, 대전·충남, 강원도, 전라북도, 광주·전남,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 제주도)을 간행하였다.
국내 독립운동사적지가 광복 이후 60여 년의 세월이 흐르는 과정에서 급속히 진행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역사 자취가 멸실, 훼손되었거나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다. 이에 조사를 통해 독립운동사적지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하고자 했다. 나아가 독립운동사적지를 각급 학교 학생들의 현장 교육이나 국민의 문화관광과 연계하여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깨닫도록 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독립운동사적지 조사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대상 시기는 1895년 민비 시해와 단발령을 계기로 일어난 의병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8월 광복 때까지였다. 둘째, 내용적 범위는 독립운동의 현장, 독립운동가 집 또는 집터뿐만 아니라 일제 식민지 통치기관 또는 이와 관련된 장소 등도 포함하였다. 그 결과 서울 201곳, 경기 남부 143곳, 인천·경기 북부 106곳, 충북 155곳, 대전·충남 157곳, 강원도 91곳, 전북 123곳, 광주·전남 168곳, 대구·경북 181곳, 부산·울산·경남 214곳, 제주도 40곳 등 모두 1,579곳이었다. 이후 추가 조사를 통해 사적지는 늘어났다.
이 가운데 전통 시대 사적지에서 독립운동이 일어난 곳은 모두 83곳이 확인되었다. 이를 도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나름대로 독립운동사적지와 관련한 내용이 안내판이나 백과사전에 실렸는지를 확인하여 이를 ‘O, X’로 표시하였다. 그중에 별도로 설치된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혹은 경기도 항일독립운동 유적지 안내판은 ‘*’ 표시를 하였다. ‘△’ 표시는 관련 내용이 있는데 소략한 경우이다. 단, 틀린 부분도 있을 것이지만 글 의도를 전달하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 전통 시대 사적지는 의병과 관련한 사찰·서원·향교 등이 많다. 그런데 전체 83곳 중 32곳에만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고, 28곳이 백과사전에 관련 내용이 실려 있다. 간혹 백과사전에 실렸는데 안내판에 없거나 안내판에는 있지만, 백과사전에 있는 예도 있다. 이는 안내판을 제작하거나 백과사전을 집필할 때 독립운동에 대해 소홀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독립기념관이 지방의 전통 시대 사적지를 관리하는 지자체와 업무협약서를 체결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백과사전류는 이를 담당하는 기관에 지속적인 수정, 보완 요청을 하여 독립운동 관련 내용을 추가하면 될 듯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곳을 찾는 국민이 독립운동의 현장에서 그 의미를 새롭게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경북 성주 백세각 전경과 ‘제1차 유림단 의거 회의지’에 세워진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안내판_성주문화관광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