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독립운동가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유관순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한<BR />독립운동가
    



글 학예실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독립기념관은 국가보훈처 및 광복회와 공동으로 유관순을 2019년 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유관순은 3·1운동에 참여함은 물론 천안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다 붙잡혀 열여덟 어린 나이에 옥중 순국하였다.


alt

학생 시위대와 만세 운동에 참여하다

유관순은 1902년 충남 천안에서 5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개신교로 개종한 일가친척과 계몽운동에 힘쓰던 부친의 영향을 받아 어려서부터 신앙심과 민족의식을 중시하였다. 1915년 4월, 선교사의 주선으로 서울 이화학당 보통과에 편입하게 되었다. 1918년 국제 정세가 재편되는 상황 속에서 국내외 항일운동 세력들은 조선 독립의 당위성을 알리기 위한 활동을 준비했다. 서울의 학생들도 학교 대표를 선임하여 만세 운동을 추진하였는데, 유관순도 학당 내 비밀결사조직 ‘이문회’를 통해 상황을 접하고 이화학당 학생 시위대를 조직하기에 이른다. 1919년 3월 1일 유관순과 학생 시위대는 교장의 만류를 뿌리치고 만세 운동 한복판으로 뛰어들었다. 점차 많은 학생들이 참여하면서 만세 운동의 규모가 커지자, 조선총독부는 학생들의 만세 운동 참여를 막기 위해 임시휴교령을 내렸다.


고향에서 만세 운동을 주도하다

1919년 3월 15일 임시휴교령으로 학교가 문을 닫자, 유관순은 고향에서 만세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독립선언서를 숨겨 천안으로 향했다. 우선 동네 어른들께 서울의 3·1운동소식을 알리고, 부친의 도움으로 지역 유지들과 대규모 만세 운동을 논의할 수 있었다. 4월 1일 유관순은 밤새 만든 태극기를 나눠주며 만세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용기를 북돋아주었다. 함께 만세 운동을 준비한 조인원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3천여 명의 군중은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시위가 점차 확산되자 일제는 시위 운동자들을 탄압했다. 안타깝게도 부친 유중권을 비롯한 19명이 목숨을 잃고 유관순과 시위 주동자들은 천안헌병대로 압송되었다. 서대문형무소로 이감된 유관순은 갖은 고문과 탄압에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옥중 만세를 불렀다. 그러나 고문 후유증과 영양실조를 이기지 못하고 1920년 9월 28일 18살의 나이로 순국하고 말았다. 정부는 유관순의 공적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alt

유관순 영정

alt

유관순과 이화학당 학생들(1915)/유관순 수형기록카드(1919)

alt

초기 이화학당(1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