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독립운동가

3·1 독립선언을 주도한
민족의 지도자 손병희

3·1 독립선언을 주도한<BR />민족의지도자 손병희



글 전시부



3·1독립선언을 주도한

민족의 지도자 손병희




독립기념관은 국가보훈처 및 광복회와 공동으로 손병희를 2019년 3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손병희는 천도교를 이끌고 교육을 통한 계몽운동에 힘썼다. 또한 1919년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3·1운동 추진에 앞장섰다.


alt


민족종교 지도자로 활약하다

손병희는 1861년 충북 청원에서 의조 손두흥과 경주 최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서얼 출신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으며 자랐고, 불합리한 신분제도를 비판하며 청년기를 보냈다. 그러던 중, 만민평등(萬民平等)을 추구하는 동학의 취지를 받아들여 1882년 입도를 결정하였다. 이후 제2대 교주인 해월(海月) 최시형의 가르침을 받아 역량을 키우고, 동학농민운동에서 호서지역 전투를 이끌며 동학의 중심 인물로 성장했다.

1897년 동학 제3대 교주로 취임한 손병희는 교단 정비와 교세 확장에 힘썼다. 1901년에는 변화하는 세계정세를 살피고 관군의 추격을 피하려고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일본의 근대화를 확인한 손병희는 우리 민족도 근대문명에 대한 수용이 필요함을 깨닫고, 이후 일본 유학을 주선하거나 교도들에게 흑의단발(黑衣斷髮)을 지시하는 등 개화를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3·1독립선언을 주도하다

1905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1906년 귀국하여 본격적인 구국 활동에 나선다. 이후 학교에 의연금을 지원하거나 인쇄소를 설립하는 등 교육의 근대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갔고, 1910년에는 보성학교와 동덕여학교를 비롯한 수십 개의 학교를 운영하여 인재양성을 위한 활동으로 확대해갔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전후하여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세계정세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손병희 등 천도교 지도자들 역시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 정당성을 알리기 위한 독립선언을 준비하였다. 기독교와 불교 등 종교계 지도자들과 교섭하여 대중화와 일원화, 비폭력화를 원칙으로 세우고, 천도교계 인쇄소에서 독립선언서를 제작하여 전국에 배포하였다. 1919년 3월 1일 손병희를 비롯한 민족대표들이 태화관에 참석한 가운데 독립선언식이 거행되었고, 이는 전 국민적 3·1만세운동으로 점차 확산되어 만방에 자주독립 의지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손병희와 민족대표들은 독립선언식 이후 일경에 체포되었고, 손병희는 수감 중에 얻은 병으로 1922년 순국하고 말았다. 정부는 천도교인을 넘어서 민족 지도자의 길을 간 손병희의 공적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alt




alt

『황성신문』에 게재된 손병희 관련 논설(1906.02.14.) 손병희가 귀국 이후 교육 사업에 전념할 것으로 추측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alt

해월 최시형. 동학 제2대교주로, 손병희에게 의암이라는

도호를 주었다




alt

한복을 입은 손병희

alt

일본 망명 당시 동학 간부들과의 기념사진(1904)

손병희는 관군의 추격을 피하고 세계정세 변화를 살피기 위해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오른쪽 첫 번째가 손병희


alt

3·1운동 민족대표 47인 재판 기록철(1920.10.)

독립선언 이후 민족대표들은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alt

손병희 장례 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