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인연
독립전쟁 현장에서 영원한 동지가 된
김학규와 오광심

독립전쟁 현장에서 영원한 동지가 된
김학규와 오광심
중국으로 망명해 교사 생활을 하며 학생들에게 민족의식과 항일의식을 심어주던 김학규는 교사 생활을 접고 무장투쟁에 뛰어들면서 오광심과 부부의 연을 맺게 된다. 이후 김학규와 오광심은 광복이 되는 순간까지 독립투쟁 최일선에서 함께 활약한다. 광복 이후에도 조국과 동포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이들 부부에게 정부는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군사학을 배우며 독립군으로 성장하다
김학규는 1900년 11월 평남 평원군 서해면에서 4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을사늑약과 경술국치 등을 직접 겪으면서 강한 항일의식을 가졌다. 일제의 강제 병합 즈음 중국 퉁화현에 정착하여 독립군 양성 요람지인 신흥무관학교에서 군사학을 배웠다. 이곳에서 배운 군사학은 후일 독립전쟁을 수행하는 든든한 정신적인 기반이 되었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한 후 서로군정서 한국의용대 소대장으로 교민 보호에 진력하였다. 이 단체는 류허현 고산자에서 독립전쟁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 단체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1920년 6월 이후에는 국내진공작전을 전개하여 일본군과 교전하는 한편 친일파 등을 처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독립전쟁의 실전경험을 쌓았다.
일제는 독립군을 후원하는 한인 동포에 대한 무자비한 살육을 서슴지 않는 이른바 ‘경신대토벌’ 작전을 감행하였다. 일본군의 포위에서 탈출한 김학규는 펑톈의 영국인이 운영하는 문회고급중학에 입학·졸업하였다. 재학 시절에 집중적으로 공부한 중국어는 후일 항일투쟁을 전개할 때 중국군의 지도자들을 만나 협상하고 신임을 얻는 밑거름이 되었다.

오광심과 김학규
민족교육과 독립전쟁을 병행하다
김학규는 1927년부터 류허현 동명학교 교사로서 한국인 청소년들에게 민족의식과 항일정신을 일깨웠다. 교육 활동은 항일투쟁 전선에서 이탈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독립운동 노선이었다. 병식체조 등 군사교육으로 장차 독립군을 양성하려는 목적이었다. 문무쌍전에 입각한 민족교육은 항일적개심을 고취하기 위함이었다.
1929년부터 조선혁명당과 조선혁명군에 가담하여 독립전쟁 현장에 다시 나섰다. 조선혁명군 참모장으로서 흥경현전투와 쾌대무전투 등에서 승리를 견인할 수 있었다. 괴뢰정부 만주국 설립 즈음에 김학규는 중국의용군 사령관 당취오와 면담하여 한중연합에 의한 공동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할 수 있는 굳건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한중연합세력은 일본군과 치열하게 전투하여 신빈현과 영릉가 전투 등에서 일본군에게 커다란 타격을 주었다. 반면 일본군의 대대적인 공세로 조선혁명군도 큰 피해를 보았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중국 관내의 독립운동 단체에 원조를 요청하기로 결심한다.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시절의 김학규

미국전략첩보국 대원들과 김학규

서울 현충원에 안장된 김학규와 오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