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Sep vol.589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33
글. 장상훈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장
도판 1. 〈한국국보전〉 전시품을 수송한 미국 군함(USS Regulus AF-57)(출처: NavSource Online: Service Ship Photo Archive)
도판 2. 〈한국국보전〉 개막 행사에 참석한 양유찬 주미대사(가운데)와 김재원 관장(가장 오른쪽)(출처: Courtesy of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Gallery Archives)
도판 3. 〈한국국보전〉 개막 행사로 진행된 국악 연주(『문화재 미국 전시 보고서』 전시 상황 사진 p.4)
도판 4. 『워싱턴 포스트(Washington Post)』 1957.12.15.자 제1면에 실린 김재원 관장과 전시품 사진(『경복궁야화』, p.125에서 옮겨 실음)
-
1) 이 특별전의 총 관람객에 대한 기록은 두 가지가 남아 있다. 문교부가 미국 순회전시에 대한 종합보고서로 1960년 6월에 발간한 『문화재 미국 전시 보고서』(p.19)에는 51,092명, 외무부가 1957년 발간한 영문 홍보 사진집 『Korea today 1957』(p.68)에는 11만여 명이라고 되어 있다
2) 『문화재 미국 전시 보고서』, pp.11-16
3) 『문화재 미국 전시 보고서』, p.19. 프레인이 전수한 문화재 포장 기술은 이후 국립박물관이 장거리 운송 목적의 문화재 포장 역량을 갖추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김재원, 『景福宮夜話』, 탐구당, 1991, p.141 참조)
4)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5: 1950년 6·25전쟁의 발발과 국립박물관”, 『박물관신문』 제571호, 2019년 3월, pp.26-27. 참조
5) 『문화재 미국 전시 보고서』, p.20
6) 『경복궁야화』, p.121
7) 장상훈,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28: 한국 문화재 국외전시 사업의 태동”, 『박물관신문』 제584호, 2020년 4월, pp.26-28. 참조
8) National Gallery of Art et al.. Masterpieces of Korean Art, 1957, pp.11-12
9) Masterpieces of Korean Art, pp.13-14
10) 김재원, 『博物館과 한평생』, 탐구당, 1992, p.138
11) 위의 책, p.167
12) 그는 1954년 7월 이승만 대통령의 방미 시에도 이 대통령이 베푼 미국 대통령 초청 만찬장에서 국악 공연을 했다고 한다
13) 『경복궁야화』, p.124
14) 『博物館과 한평생』, p.170 및 『경복궁야화』, p.124